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이란

PBR 보는법 계산 공식 저평가 가치주 사례

by flowricher 투자노트 2025. 4. 20.
반응형

PBR 보는법
PBR 보는법

 

주식을 살 때마다 “지금 이 가격이 비싼 걸까, 싼 걸까?” 고민되셨다면, 이제는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오늘 소개할 PBR 보는법은 가치주 투자에 강력한 무기가 되는 핵심 지표입니다.

PBR 보는법

왜 지금, PBR 보는법이 중요한가요?

  • 2025년 현재, 고금리·저성장 시대에서 ‘저평가 가치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PBR은 단순한 지표가 아닌 기업의 내재가치를 파악할 수 있는 투자 나침반입니다.
  • PER과 함께 재무제표를 읽는 두 축이자, 장기 투자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도구입니다.

많은 초보 투자자들이 '싸 보이는 주식'에 덥석 들어갔다가 낭패를 보곤 하죠. 하지만 PBR 보는법을 제대로 알면, **‘싸 보이는 주식’이 진짜 싼 주식인지 확신**을 가지고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PBR이란? 📘 숫자 하나로 기업의 몸값을 가늠하다

PBR의 정의와 해석

  • 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로, 한글로는 주가순자산비율이라고 합니다.
  • ‘주가 ÷ BPS(주당순자산)’의 수식으로 계산됩니다.
  • 1보다 낮을 경우, 자산가치 대비 주가가 낮아 저평가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 1보다 높을 경우, 시장에서 프리미엄을 받고 있거나 고평가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즉, PBR 보는법이 회사가 시장에서 평가받는 금액이 장부상 자산가치보다 높은가 낮은가를 알려주는 거예요. ‘자산 대비 얼마에 거래되고 있나’를 보는 개념이죠.

 

PBR과 PER의 차이점

  • PBR: ‘자산’ 기반의 가치 평가 지표
  • PER: ‘수익’ 기반의 가치 평가 지표
  • PBR은 망해도 남는 자산이 얼마나 되는지를, PER은 앞으로 벌 수 있는 이익이 얼마인지를 보여줘요.

PBR 계산 공식

공식: PBR = 주가 ÷ BPS

  • 예시: 주가가 60,000원, BPS가 120,000원이라면?
  • PBR = 60,000 ÷ 120,000 = 0.5
  • 자산 대비 반값에 거래 중! → PBR 보는법에 따라 저평가 가능성

BPS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 네이버금융, 증권사 HTS, DART(전자공시) 등에서 쉽게 확인 가능
  • 계산식: BPS = 자본총계 ÷ 총발행주식 수
  • 예: 자본총계 2조 원, 발행주식 2억 주 → BPS = 10,000원

투자를 결정할 때, 단순히 주가만 보는 건 매우 위험합니다. BPS와 PBR을 함께 보며 ‘진짜 저평가인지, 혹은 성장성 부족으로 싸게 거래되는 것인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PBR 몇 이하가 저평가

많은 분들이 투자 전 이렇게 고민하죠. “PBR이 몇이면 저평가라고 볼 수 있을까?” 정답은 업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순히 숫자만 볼 게 아니라, 수익성·성장성·재무 안정성까지 함께 확인해야 한다는 것도 꼭 기억해 주세요! 👀

PBR 수치 해석 투자자 관점 주의할 점
0.5 이하 매우 저평가 청산가치보다 낮게 평가된 경우
자산 대비 극단적으로 낮은 주가
지속적 적자·사업 리스크 반영일 수 있음
0.5 ~ 1.0 저평가 구간 기업의 순자산보다 낮은 가격
가치투자자들이 선호하는 범위
실적·현금흐름·업종 평균과 비교 필수
1.0 ~ 2.0 적정 수준 시장의 일반적인 기대 반영
안정적 성장주에서 자주 관찰됨
PER, ROE와 함께 복합적 해석 필요
2.0 이상 고평가 구간 성장 기대감이 반영된 프리미엄 상태
바이오, IT 업종에서 자주 등장
미래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급락 가능

PBR 분석 시 반드시 함께 보면 좋은 지표

  • PER (주가수익비율): 수익 대비 주가가 적정한지 판단
  • ROE (자기자본이익률):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하는지
  • 부채비율: 재무건전성과 리스크 수준 체크

요약하자면, PB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니라, 그 숫자가 의미하는 ‘이유’와 ‘맥락’을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그래야 진짜 저평가 종목을 선별할 수 있고, **장기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요 💸📈

저PBR 가치주 사례로 보는 개인 투자 아이디어
저PBR 가치주 사례로 보는 개인 투자 아이디어

저PBR 가치주 사례로 보는 개인 투자 아이디어

2025년 현재, 저PBR 종목에 주목하는 이유

2025년 한국 증시는 여전히 고금리·고물가 기조가 유지되며 보수적인 투자 성향이 두드러지고 있어요. 그 가운데 자산가치 대비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저PBR 종목'은 장기 가치투자를 노리는 개인 투자자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특히, 수익성과 재무 안정성이 동반된 저PBR 기업은 실제 수익률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실제 저PBR 가치주 사례 (2025년 기준)

아래는 2025년 상반기 기준, PBR이 0.5 이하이면서도 안정적인 실적과 자산가치를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저PBR 가치주입니다.

  • 🛠️ 유진테크 – PBR 0.42 / PER 5.6배 / ROE 11%
    반도체 장비 전문 기업. 탄탄한 영업이익과 꾸준한 배당 지급으로 투자자 선호도 높음.
  • 🧪 OCI홀딩스 – PBR 0.39 / PER 4.2배 / ROE 10.5%
    태양광·화학소재 분야에 강점. 자산 대비 저평가 상태지만 흑자 지속 중.
  • 📦 LX세미콘 – PBR 0.48 / PER 7.1배 / ROE 9.8%
    시스템 반도체 중심으로 안정적 수익. 저평가 매력으로 장기 투자자에 인기.

저PBR 종목 고를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3가지

  • 📉 부채비율
    150% 이하로 낮을수록 재무 리스크 적음. 부채가 많으면 저PBR이어도 위험 신호일 수 있어요.
  • 📈 수익성 유지 여부
    영업이익률 5% 이상, 순이익 지속 여부 확인. 흑자 기조 유지 기업인지 꼭 봐야 합니다.
  • 📊 BPS 추이
    최근 1~2년간 BPS(주당순자산)가 상승세인지 확인하세요. 자산이 줄고 있다면 의미 없는 PBR일 수 있습니다.

저PBR이 매력적인 이유, 하지만 조심할 점도!

PBR 보는법으로 종목을 발굴하는 건 훌륭한 전략이에요. 하지만 **낮은 PBR 수치 그 자체보다** 중요한 건 '왜 낮은가'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실적 부진이나 산업 구조적 위기 때문이라면, 그건 저평가가 아닌 ‘정당한 평가’일 수 있어요.

마무리

PBR 보는법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어요. 단기 수익보다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중심으로 투자하고 싶은 분들이라면 꼭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죠. 오늘 알려드린 PBR 계산 공식, PBR 몇 이하가 저평가 기준, 저PBR 가치주 사례까지 꼼꼼히 체크해서 가치투자의 첫걸음을 잘 떼보세요!

 

📊 주식 PBR 계산법 자세히 보기

반응형

loading